12월, 2019의 게시물 표시

2019년 11월 정기 모임 [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]

이미지
<혐오의 시대, 철학의 응답> 발제 박종찬 발제문 다운로드 위치 종로 스터디룸 인 후기 병준 ‘언어란 행위다. -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’  토론 초반 ‘혐오’의 필요조건을 정의하며 ‘권력’이 언급됐다. 나는 온라인상의 혐오는 권력이 눈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딱히 필요조건이 아니라 주장했다. 그런데 이 글을 쓰며 다시 생각해보니 온라인상에도 권력은 분명 존재한다. 정확히 말하자면 ‘다수’라는 이름의 권력이다. 온라인에서처럼 날아든 혐오에 바로 대항을 할 수 있다면 둘 사이 권력의 턱이 낮고, 사무실에서처럼 대항의 의지조차 갖지 못한다면 권력의 턱이 높다. 결국 높이의 차이만 있을 뿐 혐오의 화살은 늘 높은 데서 낮은 곳으로 날아간다.  아직도 ‘노키즈존’이 혐오 표현인가에 대한 나름의 판단이 명확하지 않다. ‘No kids’라면 혐오 표현이고 ‘Only for adults’라면 표현의 자유로 느껴지기 때문이다. 그런데 문득 바보 놀음이라는 생각이 든다. 우리는 이 문제를 ‘표현’과 ‘의도’로 나누어 보아야 한다. 저자는 혐오를 설명할 때 의도를 강조하지만, 의도와 함께 표현 자체도 중요하다. 다시 한번 말하지만 누군가 또는 무엇을 싫어하는 감정이 억압되어서는 안된다. 그것은 표현의 자유를 떠나 인간 감정에 대한 구속이고 이는 12월 토론에서 더 깊게 다뤄지리라 예상한다. 반면에 표현 자체만 보았을 때 ‘노키즈존’은 확실히 혐오 표현이다. 책에서는 대항 표현에 대해 주로 다뤘으나 거기서 더 나아가 혐오를 혐오로 들리지 않게끔 표현하는 노력도 많아졌으면 좋겠다.  ‘자신이 접했던 혐오 표현’이라는 논제에서 나는, 삼십몇 년을 살면서 다행히도 기억에 남을만한 혐오 표현을 듣지 않았음을 깨달았다. 그 이유는 아마도 내가 잘 처신해서가 아니라, 단지 내가 가해자들이 가진 속성에 가깝게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이리라.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에도 어떤 해결책이나 정답은 크게 떠오르지 않는다